감염병 예방 ‘조리 종사자 지침’ 있는 음식점 10.3% 불과 서울시가 음식점의 수인성·식품 매개 감염병 관리 역량을 높이기 위해 업소에 직접 찾아가는 ‘감염 제로 조리환경 컨설팅’ 강화에 나선다.
서울시가 서울 지역 음식점 400개소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감염병 예방과 조리 종사자 안전을 위한 ‘조리 종사자 건강관리 지침’이 있는 업소는 10.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중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권고하는 3가지 요소를 모두 지침에 반영한 업소는 29개소로 서울시 전체 음식점의 7.3% 불과했다. 서울시가 5월 13일부터 6월 7일까지 일반‧휴게음식점 400개소를 대상으로 ‘조리 종사자 건강관리 지침’ 보유 여부 등을 조사한 ‘서울형 감염 제로 조리환경 현황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음식점 대상 맞춤형 컨설팅을 진행하기 위해 시행한 조사 결과, 서울 400개 음식점 가운데 ‘조리 종사자 건강관리 지침을 보유하고 있다’고 응답한 업소는 10.3% 41개소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음식점 위생 등급제’에 참여한 음식점 33개 중 13개가 건강관리 지침을 가지고 있어 보유율이 39.4%로 높았다. 또한 프랜차이즈 형태로 운영되는 음식점(19.4%)이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음식점(3.8%)에 비해 건강관리 지침 보유율이 높았다. 조리 종사자가 설사, 구토, 황달 등의 증상이 있거나 수인성·식품 매개 감염병 진단받았을 때, 150개(37.5%) 음식점에서 ‘유급 병가 사용할 수 있다’라고 답했다. 4명 이상 다수의 조리 종사자가 근무하는 음식점 83개 중 51개 (61.4%)에서 사용할 수 있었고, 이어 프랜차이즈 음식점 165개 중 70개(42.4%)에서 유급 병가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는 일반음식점 327개(81.8%), 휴게음식점 73개(18.3%)가 참여했다. 독립 운영되는 곳은 235개(58.8%), 프랜차이즈 형태는 165개(41.3%)다. 주업종은 한식이 35.8%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커피전문점이 17.8%다. 평균 조리 종사자 수는 2.8명이며, 3명 이하 조리 종사자가 근무하는 음식점은 317개(79.3%)다. 서울시는 음식점 조리환경에서 식중독 전파 위험을 낮추기 위해 ‘서울형 감염제로 조리환경 컨설팅’ 사업을 진행 중이다. 조리 종사자 건강관리 지침을 제작해 음식점에 배포하고, 음식점 운영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컨설팅도 제공하고 있다. 컨설팅 참가를 원하는 음식점은 서울시 감염병연구센터 누리집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배옥숙 공감기자 |
포토뉴스
HOT 많이 본 뉴스
칼럼
인터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