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졸속으로 추진된 한강 버스의 민낯, 국감을 통해서 드러나”
한정애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10월 21일 국회에서 국정감사 대책 회의를 열고 “한미 양국 간에 논의되고 있는 금융 패키지는 한미동맹 강화와 양국 제조업 부흥이라는 공동의 목표로 우리가 감내할 수 있는 수준에서 합의가 도출되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한정애 정책위의장은 “지난주 우리 정부 경제·통상 사령탑들이 미국을 방문해 관세 협상 후속 협의를 진행했다”라며 “3,500억 달러 규모의 금융 패키지와 관련된 다수 쟁점에 대해서 상당 부분 진전을 도출한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밝히며 이같이 강조했다. 한정애 정책위의장은 “대통령실과 산업통상부를 비롯한 관계 부처 간의 긴밀한 조율을 통해서 마지막까지 우리 외환 시장의 민감성을 충분하게 반영하고 또 진지하고 건설적인 대화로 가능한 한 APEC 계기 내에 의미 있는 성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노력해 주시길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한정애 정책위의장은 이어 “20일 국토위 국정감사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의 한강버스 운행 중단이 예견된 것임이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라고 비판하고 “졸속으로 추진된 한강 버스의 민낯이 국감을 통해서 드러나고 있다”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한정애 정책위의장은 그러면서 “민주당은 서울 시민의 혈세가 낭비되지 않도록 한강버스 사업과 관련된 의혹을 진상규명하고 또한 진상규명 방안을 마련하도록 하겠다”라며 “한강 수상 택시의 경우, 폐지하기 전 3년 동안 한강 수상 택시를 사용한 인원은 100명이었다”라고 꼬집었다. 한정애 정책위의장은 “그 사업을 하기 위해서 서울시가 추산했던 하루 평균 사용자는 2만 명이었다”라고 덧붙였다.
박강열 기자 |
포토뉴스
HOT 많이 본 뉴스
칼럼
인터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