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개 주요 역사부터 시범 도입… 연말까지 273개 전 역사 440대 설치
서울교통공사는 9월 6일부터 25개 주요 지하철 역사에 신형 교통카드 키오스크를 도입, 시범운영에 들어간다고 2일 밝혔다.
기존 교통카드 키오스크는 현금 결제만 가능했지만 신형은 신용카드, 스마트폰 간편결제 기능을 탑재했다. 시범운영 역사는 ▲1호선 시청역, 종로5가역 ▲2호선 뚝섬역, 잠실나루역, 종합운동장역, 선릉역, 사당역, 서울대입구역, 대림역 ▲3호선 경복궁역, 옥수역, 고속터미널역, 수서역 ▲4호선 쌍문역, 수유역, 미아사거리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서울역 ▲5호선 김포공항역, 화곡역, 강동역 ▲6호선 이태원역 ▲7호선 도봉산역, 건대입구역 ▲8호선 천호역 등이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기존에 기후동행카드 신용카드 충전 기능이 있는 일부 키오스크 외에 대부분은 현금 결제만 가능했으나 신용카드․스마트폰 간편결제 등이 보편화된 만큼 시민 편의 위주로 기기를 개선했다”라며 “노후한 키오스크 유지․관리 효율 등을 높이기 위해 신형을 도입키로 했다”라 고 설명했다. 이번 신형 키오스크 도입은 지난 2009년, 현금으로 일회용 교통카드를 구입하고 충전할 수 있는 기기 도입 이후 16년 만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신용카드로 1회권, 정기권, 기후동행카드를 충전할 수 있으며, 선불카드는 기존 방식대로 현금 결제 충전만 가능하다. 또한 실물카드(기후동행카드, 선불카드, 정기권) 구입, 선불카드 권종 변경, 역사 내 고객센터를 찾아가 요청해야 했던 1회권, 정기권 환불도 신형 키오스크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다. 신형 교통카드 키오스크에는 신용카드 결제가 우선 적용돼 9월 6일부터 25개 주요 역사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나머지 248개 역사는 연말까지 순차적으로 도입(4호선 진접선, 7호선 부천 구간, 8호선 별내선 제외)할 예정이다. 간편결제(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페이 등) 기능 또한 오는 연말까지 순차 도입된다. 서울교통공사는 또 일시적으로 대규모 승객이 몰리는 각종 축제, 집회 등에 대비하기 위해 1회권 신용카드 결제 전용 이동형 교통카드 키오스크 15대도 함께 도입한다.
배옥숙 공감기자 |
포토뉴스
HOT 많이 본 뉴스
칼럼
인터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