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 산업 경쟁력 자체가 무너질 수 있어, 즉각 철회해야!
  • 입력날짜 2025-09-01 14:30:25
    • 기사보내기 
김규남 시의원,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 서울 시민이 막대한 피해 볼 것”
▲김규남 서울시의원이 5분 발언에서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가 시행될 경우, 서울 시민이 막대한 피해를 볼 것”이라고 지적하고 이를 철회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이미지=서울시의회 제공
▲김규남 서울시의원이 5분 발언에서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가 시행될 경우, 서울 시민이 막대한 피해를 볼 것”이라고 지적하고 이를 철회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이미지=서울시의회 제공
정부가 올 하반기 시행을 목표로 추진 중인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와 함께 이에 대한 서울시의 강력한 대응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는 발전소가 가까운 지역은 전기요금을 낮게, 발전소와 먼 지역은 요금을 높게 부과하는 방식이다.

김규난 시의원은 8월 29일 열린 서울시의회 제332회 임시회 본회의 5분 발언에서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가 시행될 경우, 서울 시민이 막대한 피해를 볼 것”이라고 지적하고 이같이 촉구했다.

정부가 년 시행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지만, 전력 자급률이 전국 최하위권(10.4%)인 서울은 타 지역보다 전기요금이 2~3배까지 오를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시민과 기업 모두 큰 부담을 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규남 의원에 따르면 실제 가구당 연간 전기요금은 지금보다 144만 원 늘어나고, 서울 전체로는 5조 5천억 원 규모의 추가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가정뿐 아니라 자영업자,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데이터센터와 기업에도 직격탄이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울의 산업 경쟁력 자체가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다.

김규남 의원은 “서울은 이미 지난해에만 115조 원의 국세를 납부해 전체의 35%를 부담했고, 인구 대비 다른 지역보다 두 배 가까운 세금을 더 내고 있다.”라며, “국가가 서울시민에게 걷은 이 세금으로 발전소와 전력망을 지어왔음에도 이제 와서 전기요금을 차등 부과하는 것은 명백한 불공정이며 역차별이다”라고 주장했다.

또 전기가 모든 국민이 같게 공급받아야 할 공공재라는 점도 문제로 지적했다. ‘전기사업법’에 따라 전국은 하나의 전력망으로 운영되고, 한국전력이라는 단일사업자가 동일한 품질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럼에도 거주 지역에 따라 요금을 달리하는 것은 헌법 제11조가 금지하는 불합리한 차별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김규남 의원은 끝으로 “에너지는 이제 안보와 주권의 문제이며, 서울 시민의 생존과 서울의 미래 경쟁력을 지키기 위해 서울시는 즉각 정부와 협의에 나서야 한다.”라며 “제도 설계 단계부터 정책 철회 요구와 함께 시민 피해를 최소화할 대책을 강력히 마련해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김수현 기자
<저작권자 ⓒ 영등포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