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교육 점검·개선 필요…픽시자전거 제도 공백 해소 해야”
최근 청소년이 가해자인 자전거 사고가 급증하고 있어 안전 교육 점검과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8월 1일 윤영희 서울시의회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서울시와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4년 청소년 가해 자전거 사고는 407건으로, 2023년 278건 보다 약 46.4% 증가했다. 부상자도 312명에서 454명으로 급격히 늘었다. 학교 내 사고도 증가세가 뚜렷했다. 서울학교안전공제회 접수·보상 기준으로 청소년 가해 사고는 2023년 6건에서 2024년 16건으로 증가했고 피해자 수도 119명에서 157명으로 늘었다. 특히 브레이크를 장착하지 않은 경기용 ‘픽시자전거’ 관련 사고도 2023년과 2024년에 각각 1건씩 확인됐다. 픽시 자전거는 법적으로 ‘차’로 분류돼 인도에서 타는 것은 불법이다. 그렇지만 청소년들이 이를 알지 못한 채 인도에서 타거나, 차도에서 위험하게 주행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윤영희 의원은 “인도 주행이 불법인 픽시자전거가 자전거처럼 판매돼 청소년들이 일상에서 이용하고 있는 현실이 위험성을 키우고 있다”라며 “서울시와 서울시교육청이 제공하는 자전거 안전교육 자료 및 학생안전 매뉴얼에는 픽시자전거의 법적 지위, 인도 주행 금지 등의 이용 수칙, 보호장구 착용 의무 등 핵심 내용이 누락돼 있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심지어 서울시교육청의 2024년 학생안전 매뉴얼에는 픽시자전거에 대한 언급조차 없는 상황이다”라고 꼬집었다. 윤 의원은 “아이들이 교육의 미비로 인해 자전거 사고의 가해자가 돼서는 안된다, 피해자가 되는 것도 막아야 하지만, 교육의 책임은 서울시와 서울시교육청, 그리고 어른들에게 있다”라면서 “청소년이 가해자인 자전거 사고가 급증하고 있는 만큼 서울시와 교육청은 자전거 안전교육 전반에 대한 점검과 개선이 시급하다”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필요하다면 관련 조례 제·개정을 통해 교육과 정책의 공백을 메우는 데 서울시의회가 앞장서겠다”고 덧붙였다.
김정현 기자(redkims64@daum.net) |
포토뉴스
HOT 많이 본 뉴스
칼럼
인터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