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사업 대상지 영등포구 신길 등 8곳 선정…9월까지 기준 마련
서울시는 시민이 걸어서 30분 안에 생활편의·여가·돌봄·학습·공공 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을 누릴 수 있는 ‘서울형 보행일상권’ 조성을 위한 시범사업에 들어간다고 4월 22일 밝혔다.
보행일상권은 지난 2022년 3월 발표한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 처음 제시된 도시공간 개념이다. 멀리 이동하지 않고도 주거지 인근에서 다양한 일상을 누릴 수 있는 자족적 생활권을 의미한다. 시는 시범사업 대상지로 ▲영등포구 신길 ▲종로구 평창‧부암 ▲성동구 금호‧옥수 ▲동대문구 청량리 ▲성북구 정릉 ▲강북구 수유 ▲서대문구 홍제 ▲서초구 양재 등 8곳을 선정했다. 시는 대상지는 지역적 특성과 권역별 균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시범사업은 보행일상권 실현을 위한 계획 마련에 초점을 맞춰 진행된다.
역세권 등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한 보행일상권 조성 계획, 보행일상권 내 필수시설의 확충 계획, 접근성 향상을 위한 생활 가로의 네트워크 구축 방안 등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오는 9월까지 ‘보행일상권 조성계획 기준’을 마련하고 향후 서울 전역으로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시는 시범사업을 통해 대상지별 보행일상권 필수시설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시설 확충 방안도 함께 마련할 방침이다. 공공시설의 경우 기부채납이나 공공기금 등을 활용하고, 민간시설은 지구단위계획 내 권장 용도로 유도하는 방안 등도 제시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서울시는 지역 특성을 반영한 ‘서울형 보행일상권’ 모델을 정립하고, 도시관리계획 및 정비사업, 소규모 정비사업, 도시재생사업, 역세권사업 등의 개발사업 계획 수립 때 생활 서비스 시설 확충 근거로 활용할 계획이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이번 시범사업은 서울형 보행일상권을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첫 단계”라며 “앞으로 서울 전역에 100개 이상의 ‘작지만 강한’ 자족형 생활권을 순차적으로 조성하겠다”라고 말했다.
배옥숙 공감기자 |
포토뉴스
HOT 많이 본 뉴스
칼럼
인터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