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만의 특색있는 교육과정을 만드는 좋은 기회”
서울시교육청(교육감 정근식)은 ‘학교자율시간’ 활성화를 7월부터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추진하는 ‘학교자율시간’ 활성화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자율화 확대에 발맞춰 지역 및 학교의 여건과 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과목 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교원의 교육과정 설계 역량 강화를 위해 추진된다.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학교자율시간’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처음 도입된 개념으로, 학교가 지역과 학교 여건, 학생 필요에 따라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시수의 일부를 활용해 국가 교육과정 외에 새로운 과목(교육감 승인 과목)을 개설·운영하는 시간이다. ‘모두의 학교 공간 디자인’을 개발한 임휘 신도봉중 교사는 “과목 개발은 우리 학교만의 특색있는 교육과정을 만드는 좋은 기회였다”며“선생님들이 학교자율시간을 위한 다양한 과목 개발을 통해 자율적인 교육과정을 실현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교육청은 7월 12일부터 ‘학교자율시간 운영을 위한 과목 개발 직무연수’를 총 15시간에 걸쳐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주요 내용은 ▲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이해 및 교육감 승인 과목 개설 방법, ▲ 학교자율시간 운영 설계 및 과목 개발 사례, ▲ 학교자율시간 운영 사례, ▲ 디지털 기반 과목 개발 실습, ▲ 과목 개발 공유 및 교과용 도서·학습자료 개발 등이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이번 연수를 통해 교원들이 교육과정 전문가로 성장하고, 서울형 학교자율시간 운영 모델이 전국으로 확산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앞으로도 교사 중심의 교육과정 혁신이 학교 현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하고, 자율성과 창의성이 살아있는 학교 문화를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김수현 기자 |
포토뉴스
HOT 많이 본 뉴스
칼럼
인터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