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연금 수령액 최대한 많이 받기 위해선 어떤 방법 있나?
  • 입력날짜 2025-07-11 14:56:43
    • 기사보내기 
국민연금공단 영등포지사, 보험료 ‘일찍’ ‘오래’ ‘많이’ 납부해야
국민연금은 노후에 안정적인 소득을 제공하는 중요한 제도다. 국민연금 수령액을 최대한 많이 받기 위해서는 일찍 가입하고 가입 기간을 최대한 길게 유지하고 많이 납부할수록 유리하다.

7월 11일 국민연금공단 영등포지사에 따르면 연금액은 본인이 국민연금에 가입한 기간과 전체 가입자의 평균소득, 가입자 본인의 평균 소득을 바탕으로 산정되기 때문에 보험료를 최대한 ‘일찍’, ‘오래’, ‘많이’ 납부할수록 커진다.

연금액은 본인 평균소득(B값) 이외에 전체 가입자 평균소득인 A값을 반영해 산정하므로 ‘고소득층 보다 저소득층이 유리’하도록 돼 있다(소득재분배 기능). A값과 가입 기간이 동일하면 본인 소득에 따라 급여가 달라지기 때문에 ‘많이 낼수록’ 연금수령액이 커진다. 또 20년을 초과하는 연마다 연금액이 5%씩 증가하므로 ‘오래 낼수록’ 연금액이 늘어난다.

예를 들어 보면 300만원 소득자의 경우 10년 납부하면 매달 약 30만원을 받고, 10년을 더 납부할 때 마다 약 30만원씩 늘어난다.

또한 100만원 소득자가 20년 동안 2,160만원의 보험료를 납부하면 약 41만원을 받게 되고, 500만원 소득자가 10년 동안 5,400만원의 보험료를 납부하면 약 41만원을 받게 된다. 즉, 소득이 적더라도 오래 납부하는 것이 유리하다.

오래 납부해 ‘가입기간을 늘리는 방법’에는 어떠한 것이 있을까.

하루라도 빨리 가입해서 가입기간을 최대로 늘리는 것이다.

가입대상은 아니지만 본인이 희망하여 가입하는 임의가입이나 임의계속가입제도를 활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소득이 없는 배우자는 가입대상은 아니지만 본인이 희망해 가입 후 10년 이상 납부하면 노년에 부부가 각각 연금을 받을 수 있다.

보험료 납부 없이도 가입기간을 추가로 인정해 주는 (출산·군복무) 크레딧 제도를 활용하는 것이다.

보험료 납부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보험료의 일부를 지원해주는 제도도 활용할 수 있다.

찾아갔던 국민연금(반환일시금)을 이자와 함께 공단에 납부해 가입기간을 복원(반납금 납부)하거나, 실직 또는 사업중단 등으로 보험료를 납부하지 않은 기간을 추가로 납부하는 방법(추납보험료 납부)도 있다.

가입기간을 늘리는 것은 아니나, 연금을 받을 때 연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의 수령을 최대 5년간 연기하여 연금액을 최대 36% 더 받는 연기연금 제도도 있다. 연기 1개월마다 0.6% 더해 지급하므로, 1년 연기 시 7.2%, 5년 연기시 36% 더 받을 수 있다.

박종필 국민연금공단 영등포지사장은 “국민연금을 많이 받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므로, 이를 통해 노후를 잘 준비해 보다 나은 노후생활을 영위하실 것을 당부드린다”라고 말했다.

배옥숙 공감기자
<저작권자 ⓒ 영등포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