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칼럼] NGO단체 다양한 얼굴, 옥석 가려보자
  • 입력날짜 2013-01-03 05:47:57 | 수정날짜 2013-01-03 10:35:20
    • 기사보내기 
새해 첫날, 하얀 눈이 펑펑 내렸다. 휴일임에도 불구하고 도심의 도로는 제설이 제대로 되어 차량이 다니는데 어려움이 없었다. 서울에서 의정부로 가는 길 서울도 제설이 되었고 의정부도 되었는데 그 경계부근에는 눈이 치워지지 않았다.

행정의 단면이 그대로 드러나 보였다. 서울이 해야 하는 일, 의정부가 해야 하는 일에 왜 내가 ‘손해’보면서 해야 하는가 이다. 그 경계는 늘 아슬아슬하다. 그 사각지대는 이렇게 벽이 되어 소통을 가로막고 있는 것이다.

정확한 경계까지 확실히 제설작업을 하면 그 경계는 10여미터나 될까 아니면 100여미터가 될까 서울사람이 의정부 가지 않고 의정부 사람이 서울가지 않는 것도 아닌데 이렇게 대충 경계만 짓는다. 오후 들어 눈이 그치고 햇볕이 쨍쨍 나면서 경계는 표도 나지 않게 되었다.
 
사회공헌 대기업과 일자리 창출의 1석 2조

경제민주화라는 이름으로 대기업이 도마 위에 올랐다. 문어발 확장을 경계하고 그간 성장한 것이 ‘죄’가 되어 죄인처럼 단죄할 듯 난리다. 물론 그런다고 별별 어려움을 다 겪고 성장해온 내공이 하루아침에 사라지고 쥐잡힐 듯 잡히지 않는다는 것은 분명하다.

재벌과 그 외, 사측과 노조라는 양극화의 이름 그 이면을 들여다 보자. 중소기업의 이점을 누리기 위해 수치상 대기업에 들어가지 않으려 ‘노력’하는 중견기업도 있고 노조라고 다 같은 노조인가.

대기업 노조와 원청노조 하청노조, 그중에서도 2차 3차 노조가 있다. 귀족노조가 기침하면 대기업은 노조편을 듣는다. 결국 그 비용은 대기업 사측이 아닌 중소기업인 2차 3차 하청노조가 감내해야 한다.

NGO단체도 다양하다. 역시 NGO단체에도 재벌 격이 있고 중소기업 격이 있고 골목상권 격이 있다. NGO단체 또한 지원이 한곳에 집중 된다. 잘되는 곳은 홍보도 잘하고 대인관계의 폭도 넓다. 시장논리를 너무 잘 알기도 한다.

사회공헌을 하기위해 많은 기업들이 NGO단체와 손을 잡는다. NGO단체와 함께 봉사활동을 하고 사회적으로 필요한 테마와 캠페인에 지원을 한다. 기업이 놓치는 곳, 정부가 놓치는 곳을 시민단체가 알려주고 민 관 기업이 함께 한다. 경우에 따라 소통의 큰 창구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 또한 한곳에 집중되는 경우가 많다.

기업과 정부는 돈만 내놓으면 ‘좋은 일’ 한다는 자기위안에 빠지기 쉽다. 한 곳에 집중되어 덩치가 커지게 되면 기업뿐 아니라 시민단체도 권력화 되기 쉽고 매너리즘에 빠지기 쉽다.

또 중요한 것은 NGO단체도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사실이다. 사회공헌과 캠페인을 하면서 그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일은 단순히 생계지원의 복지와는 차원이 다르다.

그래서 정부가 시민단체에 용역사업을 진행하는 일을 할 때 그들이 하는 자부담에 대한 깊은 성찰을 해보아야 한다. 자부담대신 얼마나 일자리 창출을 하고 있는지를 짚고 넘어가는 것이 훨씬 진솔하고 발전적이다.

여영미 한국NGO신문 발행인
<저작권자 ⓒ 영등포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