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마을공동체 주민주도기업으로 키워드립니다"
  • 입력날짜 2012-09-26 06:08:20
    • 기사보내기 
「마을공동체기업 육성정책」통해 주민 스스로 지역 문제 해결 지원
서울시가 주민주도의 마을공동체기업 육성책을 본격적으로 가동한다. 서울시는 25일(화)「마을공동체기업 육성정책」을 발표, 오는 10월 1일(월)부터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www.seoulmaeul.org) 에서 신청을 받아 마을공동체기업 창업 준비부터 안정기까지 전 단계를 책임지고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온라인 신청과 병행한 오프라인 접수도 받는다. 신청서는 은평구 舊국립보건원 건물에 마련된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02-385-2642)로 제출해 본인의 창업 준비정도에 따라 맞춤형 지원을 안내받을 수도 있다. 마을공동체기업은 주민출자형식의 협동조합 원리가 적용되나, 마을공동체기업은 구성 목적이 ‘주민 욕구 및 지역문제 해결’이라는 점,협동조합은 법적인 등록요건을 갖춰야 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또, 마을공동체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사회적기업과도 차이가 있다. 예컨대 법적인 기준으로는 공공의 지원을 받지 못하지만 실질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문제를 마을단위에서 해결하고 싶을 경우 5명이상 마을공동체기업을 조직하면 된다.

기존 정부주도의 ‘마을기업’이 이와 유사한 개념이지만, 마을기업의 경우 공모를 통해 사업비만 지원해 지원 중단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어려웠다면, 서울시 정책은 마을주민 자발성에 바탕을 두고 시작단계부터 실 창업까지 단계별로 꼼꼼히 지원해 자립성을 담보한다는데 그 초점이 맞춰져 있다.

마을공동체기업에 대한 지원은 ‘플랫폼 등록’ → ‘인큐베이터 상담 및 모니터링’ → ‘단계별 교육 지원’ → ‘사업계획서 작성 지원’ → ‘팀워크숍 및 창업직전교육’ → ‘공간임대보증금 지원’ → ‘창업성공’→ ‘안정적 운영지원’ 단계로 진행된다.
마을기업에 대한 준비정도에 따라 단계별 신청 및 지원 가능하다.

마을공동체기업 , 마을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내달 1일부터 접수 시작
먼저 마을공동체기업 창업에 관심이 있는 주민모임이나 5명이상의 기업은 쌍방향 인적․물적자원 연계 웹기반시스템인 ‘플랫폼(www.seoulmaeul.org)’에 상담을 신청하면 된다. 이때 이미 마을(공동체)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경우에도 기업운영 업그레이드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개인도 신청가능하다.

‘플랫폼’은 마을공동체 내의 주민모임이나 사업적 시도들을 스토리로 등록하고, 인적․물적 자원을 마을공동체기업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웹기반 시스템이다. 온라인 게시판 형태로 아카이브, 등록과 지원신청, 교육 및 홍보역할, 투자 펀딩․기부나 후원 참여 등 자원 연결이 주요 기능이다.

지역조직전문가 '인큐베이터' 10명 선발해 신청마을 교육 및 지원단계 설계
신청이 접수되면 지역조직전문가인 ‘인큐베이터’들이 직접 현장으로 나가 지역의 자원을 발굴하고 모니터링을 실시한 후 신청자 및 기업에 대한 교육 및 지원 단계를 설계해준다.

인큐베이터는 지역사회를 조직하는 전문가로서, 마을공동체기업을 준비하는 마을과 주민의 성장을 돕는 임무를 맡아 주민대상 현장밀착지원, 마을 정보와 자원 연계, 상담과 모니터링 등 마을공동체기업을 준비하는 마을과 주민의 성장을 돕는 사람을 말한다.

서울시는 올해 1차로 10명의 인큐베이터를 선발하고, 2014년까지 각 자치구별로 1명씩 배치해 실질적인 도움을 준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9월 26일(수)~10월 9일(화)까지 지역활동 및 마을만들기와 관계된 5년 이상의 경력자를 대상으로 인큐베이터 모집을 진행하고 있다. 이들은 선발되면 다른 직업과 병행할 수 없으며, 10월 11일(목) 최종 합격자를 선발하고 10월 26일(금)까지 직무 교육을 실시한다.

씨앗기→창업준비기→안정기 3단계 중 알맞은 지원 프로그램 연계해 내실다져
‘인큐베이터’는 플랫폼에 신청된 내용을 분석해 ①씨앗기 ②창업준비기 ③안정기 3단계로 나눠, 각 단계에 알맞은 지원프로그램을 연계해 준다. 먼저 마을공동체기업 창업을 위한 첫 단계인 <씨앗기>는 ‘마을공동체기업의 의미와 운영원리’를 시민들에게 알려주고, 창업을 위한 첫걸음을 디딜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단계다. 시는 집중 교육과 컨설팅으로 실제 사업계획서를 작성 할 수 있는 단계까지 도와준다.

평균 6개월간 진행되는 ‘씨앗기’에는 마을공동체기업의 의미와 운영에 필요한 정보등의 ‘필수교육’과 마을의 자원 조사, 마을에 필요한 의제 발굴, 마을전문가 등 멘토단과 함께 하는 팀워크숍등의 ‘선택교육’을 진행한다. 특히 이 단계에서는 자원조사와 의제개발의 2단계에 대해 각각 50개 팀에게 최대 100만원씩의 진행비를 지원한다. 개인 신청자도 동일하게 지원받을 수 있지만, 기업형식을 갖추진 못하기 때문에 임대보증금 등의 지원은 제한된다.

이미 사업계획서가 완성됐거나 ‘씨앗기’의 지원을 받은 신청자에겐 <창업준비기>에 해당하는 지원책을 연계해준다. <창업준비기>는 실질적인 마을공동체기업 창업을 앞둔 시기로 창업계획서를 기준으로 그동안 발굴한 지역문제 해결책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펼쳐지고, 창업에 필요한 실제적인 단계를 밟게 된다.

이 단계에서는 마을전문가, 경영전문가 등의 멘토단과의 3회~7회의 워크숍을 개최해 사업계획서를 검토하고, 심층토론을 펼쳐 기업이 나아갈 방향을 정한다.

공공성이 강한 기업은 심사 통해 최대 1억 원의 임대보증금 및 월세 지원
이때 서비스 이용자가 비용을 지불할 수 없는 취약계층이거나, 국가에서 제공되어야 하는 분야를 민간에서 대신해 수행하는 등 공공성이 강한 기업은 심사를 통해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5년이내 상환을 조건으로 임대보증금 최대 1억 원 및 월세를 지원해 준다. 우선 올해 12월까지는 총 15개 기업을 선정할 계획이다. 지원 내용과 규모 결정에 있어선 주민의 결과보고서, 인큐베이터 의견서, 제출한 사업계획서, 전문가의 멘토보고서 등을 종합한 ‘성과지표’를 근거로 한다.

<안정기>는 이미 마을(공동체)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업그레이드 지원책을 펼치는 것으로 기업 이전 등에 필요한 공간임대보증금이 동일하게 지원한다. 한편 서울시는 내년부터 마을공동체기업을 대상으로 창업 후 6개월 시점부터 매출액의 1%를 지역기금으로 적립 받을 계획이다. 적립된 지역기금은 모금액에 따라 공공자금 50%를 매칭해 지역에 기반을 둔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의 출연과 민간의 자발성에 기초해 기부, 융자, 투자 등의 방법으로 사회적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민간자율 운영 기금으로 올해 민간추진위원회를 구성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권혁소 서울시 경제진흥실장은 “지역의 필요를 수용할 수 있는 지역공동체 복원, 지역에 근거한 사회적경제 생태계 구축, 민관협치와 다양한 수준의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정책개발이 필요하다”며 “지역주민들의 욕구와 지역문제를 스스로, 지속가능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마을공동체기업을 육성하고 지속적으로 활성화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오태옥 기자
<저작권자 ⓒ 영등포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