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봉준 서울시의원, “신축 공동주택, 새집인데 못 살겠다”
  • 입력날짜 2025-11-05 17:17:34
    • 기사보내기 
44개 단지 중 38곳(86.7%) 실내 공기질 기준치 초과, 전년 대비 악화
▲이봉준 시의원/이미지=서울시의회 제공
▲이봉준 시의원/이미지=서울시의회 제공
서울시 자료에 따르면 2025년 9월까지 실내공기질 검사를 받은 서울시 신축 공동주택 44개 단지 중 38개 단지(86.4%)가 권고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수로는 259세대 중 154세대(59.5%)가 기준치를 초과했으며, 이 중 114세대는 재검사에서도 기준을 넘겼다.

이봉준 시의원은 4일 열린 기후환경본부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 신축 공동주택의 심각한 실내공기질 오염 실태를 지적하고 “서울시가 올해 4월 '실질적인 공기질 개선'을 약속했음에도 오히려 상황이 더 나빠졌다”라고 밝혔다.

이봉준 의원에 따르면 세대수 기준 2024년 기준치 초과율이 31.5%였던 것과 비교하면 올해는 59.5%로 거의 두 배 가까이 악화했다.

가장 많이 검출된 유해 물질은 톨루엔(128개소)과 라돈(40개소)이다. 톨루엔은 페인트, 접착제, 벽지 등 건축자재에서 발생하며 두통과 구토를 유발한다. 특히 일부 주택에서는 기준치(1,000㎍/㎥)의 5배가 넘는 5,004㎍/㎥가 검출되기도 했다.

역세권 청년주택, 청년안심주택 등 임대주택은 더욱 심각하다. 올해 9월까지 검사받은 15개 단지 전부(100%)가 기준을 초과했으며, 72세대 중 61세대(84.7%)에서 유해 물질이 검출됐다.

이봉준 의원은 “임대주택은 청년, 신혼부부, 저소득층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해 서울시와 SH공사가 공급하는 공공주택이다”라며 “일반 분양주택보다 더 철저한 관리가 이뤄져야 하는데 오히려 상황이 더 열악하다”라고 지적하고 입주 전 조치가 어려운 임대주택에 대해 철저한 관리를 촉구했다.

이에 기후환경본부장은 “임대주택의 경우 더 철저히 확인하겠다”라고 밝히고 “입주자들이 확실히 인식할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라고 이 의원의 질의에 답변했다.

이봉준 의원은 “현행 제도는 기준 초과 시 시공사에 베이크아웃 등 개선 조치만 권고할 뿐 강제성이 없다”라며 “법적 규제 강화 등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라고 덧붙였다.

김수현 기자
<저작권자 ⓒ 영등포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