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통합돌봄서비스’ 3월부터 시행
  • 입력날짜 2025-02-20 14:35:06
    • 기사보내기 
1번 신청하면 의료·건강·요양·주거까지 원스톱으로 지원
올해 4개 자치구 통합돌봄지원센터 시범 운영
▲서울시청 전경.
▲서울시청 전경.
서울시는 2월 20일 돌봄이 필요한 시민이 한 번만 신청하면 의료-건강-요양-주거까지 필요한 돌봄지원을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는 ‘서울형 통합돌봄서비스’를 3월부터 시범적으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신청대상자에 대한 방문진료, 병원동행, 식사배달, 방문 간호 등 긴급 지원부터 신체‧마음건강 관리 등 장기적인 일상 지원까지 대상자별 맞춤형 계획을 수립, 지원하는 약자동행 패키지형 지원이다.

아울러 장기요양등급 신청 등 행정적 지원과 주거환경 개선, 주택지원까지도 연계한 ‘원스톱 돌봄체계’다.

시는 올해 4개 자치구에 통합돌봄센터를 시범적으로 설치, 운영한 뒤 ‘의료·요양 등 지역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약칭 돌봄통합지원법)해 시행에 들어가는 내년 3월부터 전체 자치구로 확대할 계획이다.

서울형 통합돌봄은 돌봄이 필요한 본인 또는 보호자가 가까운 동주민센터에 지원을 신청하면 대상자와 심층상담을 통해 통합돌봄계획서를 수립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연계‧원스톱으로 돌봄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동주민센터 소속 통합돌봄관리사가 대상자 가정을 방문해 심층면담을 통해 필요한 지원을 파악한 후 단기‧단편적 돌봄이 시급할 경우엔 즉시 서비스를 연계하고, 중장기‧복합적 처방이 필요하다면 자치구에 설치된 ‘통합돌봄지원센터’로 연계, 본격적인 통합돌봄을 지원한다.

통합돌봄은 우선 보건의료, 건강, 요양, 돌봄, 주거 등 크게 다섯가지 분야를 핵심으로 연계‧제공된다

통합돌봄서비스의 빈틈없는 추진을 위해 서울시-자치구-동주민센터도 더욱 밀접하게 협력한다.

우선 서울시는 서울형 통합돌봄지원 모형 개발과 확산을 통해 시민 체감도를 높인다. 이를 위해 분야별 전문가와 유관기관, 현장관계자로 구성된 ‘서울시 통합지원협의체’를 운영해 탄탄한 사업추진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자치구는 돌봄이 필요한 시민을 위한 ‘통합돌봄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해 지역 내 보건소, 건강보험공단지사, 의료기관, 복지관 등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연계가능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발굴한다. 또한 민간 돌봄서비스기관의 품질관리를 통한 질 높은 돌봄환경도 조성한다. 이외에도 보건의료, 사회복지 분야 전문가와 기관이 참여하는 통합돌봄회의도 운영한다.

동주민센터는 통합돌봄서비스 신청‧접수는 물론 현장방문 등을 통해 돌봄 대상자를 선정하고 보건소‧요양기관‧복지시설 등에 서비스를 직접 의뢰한다.

윤종장 서울시 복지실장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통합돌봄서비스 전달체계를 구축하고 가동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시민이 살던 곳에서 건강하게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배옥숙 공감기자
<저작권자 ⓒ 영등포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