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제56차 최고위원회의 서울광장에서 개최
민주당은 11일(수) 오전 서울광장 민주주의 회복 및 국정원 개혁 국민운동본부에서 제56차 최고위원회의 열고 “지난 대선 당시에 국정원의 대선 개입 댓글 사건이 있은 직후부터 국정원 2,3차장 등 간부들과 박근혜 대선후보 캠프들의 간부들이 수시로 통화한 기록이 새롭게 드러났다”고 밝혔다.
김한길 대표는 “국정원의 조직적인 불법 대선 개입 사건의 진실은 날이 갈수록 하나하나 실체를 드러내고 있다”며 “진실은 절대로 영원히 숨길 수 없는 것이다”고 강조하고 국정의 최고 책임자로서 국민께 사과가 있어야 할 것이다“는 말로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를 촉구했다. 김한길 대표는 박근혜 대통령과의 만남에 대해서도 “일부에서는 대통령이 야당대표에게 해외순방 성과를 설명하는 자리를 말하기도 하지만 국정원 개혁이 말해지지 않는 어떤 만남도 무의미하다는 점을 분명히 밝혀둔다”며 국정원 개혁을 강조했다. 또한 “무상보육 문제도 서둘러 결단해야 한다. 서울시와 정부여당이 무상보육 문제로 기싸움을 벌일 일이 아니다. 무상보육은 박근혜 대통령 후보 당시의 앞선 공약이었다.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풀어야 할 책임이 있다“며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했다. 교학사의 역사교과서 왜곡과, 잇따라 벌어지고 있는 강연 불허, 영화 천안함 상영 중단에 대해서도 “친일과 독재를 찬양하는 왜곡된 교과서까지 등장했다. 일본의 역사교과서를 탓할 일이 아니다” “진실의 상아탑인 대학이 정치적인 이유로 외부인사의 강연을 불허하고, 극장이 정치적인 이유로 영화상영을 중단하는 등 사상과 표현의 자유가 극도로 위축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김한길 대표는 추석을 앞둔 장바구니 물가에 대해서도 “봉천동에 있는 재래시장을 방문했다. 과일가게 사장님, 떡집가게 사장님, 생선가게 사장님 등이 이구동성으로 경기도 작년보다 못하다고들 하신다. 그런 말씀들이 저를 가슴 아프게 했다“며 ”정치하는 사람의 한사람으로서 책임감을 느끼지 않을 수가 없었다“고 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박근혜 대통령의 첫 번째 다자외교 활동을 평가한다. 특히 G20 정상회의에서 선진국을 상대로 금융불안에 대한 신흥국의 목소리를 경청할 것과 정책공조를 촉구하고, 또 채택된 정상선언문에 그 취지가 반영된 것은 의미가 있다고 평가한다”고 밝히고 “이제는 대통령이 국민과 야당의 목소리를 경청할 때다”고 강조했다. 전 원내대표는 “오늘로 제1야당이 광장으로 나온 지 42일째, 제1야당의 대표가 노숙투쟁에 돌입한지 16일째다”며 “나라는 온통 불통이고, 국민의 불신과 원성뿐이라는 점을 대통령께서는 귀국 즉시 판단을 해야 될 것이다”고 주장하고 “우리당은 벼랑 끝으로 내몰린 민생의 근본이고, 원천인 민주주의에 대한 박근혜 대통령의 책임 있는 응답과 일성을 기대한다” 박근혜 대통령의 불통을 비판했다. 신경민 최고위원은 “오늘은 9월 11일, 12월 11일 역삼동 오피스텔 사태 이후 만 9개월이 되는 날이다. 여러 측과 여러 사람들의 노력으로 역삼동 사태와 그 이후 진실의 흔적이 끊임없이 나타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지난 9일 검찰이 내놓은 12월 11일부터 16일 사이의 통화기록이 오늘 보도됐다. 피의자인 국정원, 원세훈, 차문희 차장, 박원동 국장, 그리고 이름 없는 안 국장, 수사를 하는 경찰청의 김용판 서울청장과 수사책임자들, 그리고 이 사태와 수사에 밀접한 민감한 이해를 갖고 있는 새누리당과 캠프의 서상기, 권영세가 있다”며 “짐작을 뛰어넘는 사실이 여기에서 더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신 최고위원은 “왜 경찰수사가 완전히 망가졌는지, 김용판은 도대체 왜 그랬는지, 검찰수사와 기소가 왜 질척거렸는지, 왜 청와대 수석과 법무장관이 난리를 쳤는지, 국정조사의 매듭매듭에 방해가 있었는지, 그리고 국정조사가 이 모양으로 끝나게 됐는지, 끝까지 ‘원판김세’를 보호하려 했는지 이제 짐작이 되고 충분히 이해가 된다”면서 “이제 진실의 문이 열리기 직전에 있고, 문틈으로 빼곡하게 진실의 일단이 보이고 있다. 수사와 기소는 물론이고 재판까지 집요하게 압력을 넣는 실체가 있는 것이 분명해지고 있다. 이는 또 다른 음모이고 공무집행 방해다”고 청와대와 법무부 장관을 비판했다.
이어서 “지금까지 드러난 진실만 봐도 재수사를 하던지, 압력이 없는 상태에서 검찰이 새롭게 수사를 할 수 있게 해주던지, 국조를 다시 하던지, 특검으로 하던지 특단의 조치가 필요해 보인다. 그래야 국정원 정권이라는 브랜딩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미진한 수사를 비판했다.
오경희 기자 |
포토뉴스
HOT 많이 본 뉴스
칼럼
인터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