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부와 가족이 체감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 3대 분야 87개 사업...
서울시가 저출생 극복을 위한 정책 패키지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 3대 분야 87개 사업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이를 통해 청년들의 만남부터 결혼, 임신과 출산, 육아, 일상생활 균형까지 전 생애주기를 아우른다는 야심 찬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대표적으로, 교통 약자인 임산부의 편한 외출을 위해 1인당 70만 원의 교통비 바우처를 지원하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기준으로 34,001명이 혜택을 받았다. 산모가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겪는 정서적‧육체적 피로를 빠르게 회복할 수 있도록 서울 거주 산모에게는 출생아 1인당 100만 원 상당의 ‘서울형 산후조리 경비’를 지원하고 있으며, 같은 시점 기준 28,173명이 지원을 받았다. 이와 함께 35세 이상 산모에겐 산전 검사비를 최대 50만 원 지원하고 있으며, 올해 8월 말 기준 15,058건 지급되었다. 또한 저출생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인 1인 자영업자 등 임산부에 대한 지원에 나섰다. 올해 3월 시작한 ‘1인 자영업자 등 임산부 출산급여’는 현재까지 2,303명에게 지급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저출생 극복을 위한 서울시의 이러한 노력은 최근 저출생 관련 통계 수치로도 확인되고 있다. 올해 7월 서울의 출생아 수는 전년 같은 달 대비 12.5% 증가해 전국 평균(5.9%)을 크게 상회했으며, 출생아의 선행지수라고 할 수 있는 혼인 건수도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하면 9.7%(전국 평균 8.4) 증가했다. 서울시는 2024년 4월부터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하면 출생아 수, 혼인 건수 모두 16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배옥숙 공감기자 |
포토뉴스
HOT 많이 본 뉴스
칼럼
인터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