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청년월세' 신청자 66.2% 7.3평 이하서 거주
  • 입력날짜 2020-11-24 14:06:14
    • 기사보내기 
4.2평 이하도 13.6%…지하‧옥탑도 14%, 5명 중 1명 무직
'서울 청년월세지원' 첫 신청자 2만2,405명 중 66.2%가 24㎡(7.3평) 이하의 공간에서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14㎡(4.2평)도 안 되는 협소 공간에 사는 비율도 13.6%에 달했으며 14.6%는 지하‧옥탑에 거주하고 있었다. 서울시가 '서울 청년월세지원' 첫 신청자 2만2,405명에게 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신청자의 96.9%는 “청년월세지원이 내 주거수준과 삶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원 대상자로 최종 선정된 5천여 명의 경우 평균소득은 123.6만 원(도시근로자 1인 가구 120%기준 월평균 소득 317.4만원의 38.9%)으로, 평균 임차보증금은 871.4만 원, 500만 원 이하도 49.1%에 달한다. 매달 지출하는 월세는 41만 원(신청자 평균 37.3만원)이었다. 5명 중 1명(20.4%)은 무직이었다.

‘서울 청년월세지원’은 서울시의 공정한 주거 출발선 정책의 하나로, 만 19세~39세 청년 1인 가구에 월 20만 원의 월세를 최장 10개월 간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난 6월 첫 신청자 모집을 마치고 9월부터 월세를 지원 중이다.

서울시는 설문조사 결과와 지원 대상 청년들의 주거상황을 종합해보면 대부분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소득 대비 높은 주거비용을 매달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하고, ‘서울 청년월세지원’이 청년들의 주거안전망으로서 실질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서울시는 이 같은 설문결과를 토대로 ‘서울 청년월세지원’ 정책을 중간진단하고 정책 당사자인 청년들의 목소리를 수렴, 내년 사업에 반영하기 위한 「서울 청년월세지원 정책포럼」을 12일(목) 15시부터 온라인(서울시 유튜브)으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포럼은 서울 청년1인 가구 실태 및 ‘서울 청년월세지원’ 추진 배경 및 성과 등에 대한 소개(김정호 서울시 주택정책과장)에 이어, 정책 발제와 토론회로 진행된다.

올해 ‘서울 청년월세지원’에 최종 선정된 청년들(5천 여명)의 신청 등록 사항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여성이 62.3%이었다. 사무직이 23.3%로 가장 많았고 5명 중 1명(20.4%)은 무직이었다. 판매‧영업‧서비스직은 18.6%였다.

일반청년과 코로나19 피해청년 2개 부문으로 나눠서 이뤄진 신청접수 결과를 보면, 일반 분야 선정자들은 사무직(26.3%)이 많은 반면, 코로나 분야는 전문‧자유직*(28.3%), 판매‧서비스(22.4%), 무직(23.7%)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코로나 타격이 더 컸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청자를 대상을 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년월세’ 신청자 평균 거주기간은 14.9개월이었고, 6개월 미만 초단기 거주자도 32.8%로 조사됐다. ‘원룸형’에 거주하는 비율은 85.7%였다. 지금 사는 곳에 거주하게 된 이유는 '학교‧직장과의 거리'와 '경제적 이유'가 90% 가까이 차지했다.

현재의 주거공간에 대한 만족도 부문에서는 ‘만족한다’가 44.8%, ‘별로 그렇지 않다’가 18.2%로 나타났다. 만족하지 않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주거면적의 협소’ 65.0%, ‘생활소음’ 42.6%, ‘주택 노후화’ 41.2% 순으로 나타났다.

‘청년월세’ 제도에 대한 신청자들의 목소리도 들었다. 신청자들은 청년월세 지원이 기본적인 생계유지(47.3%)와 월세 등 주거문제 해소(36.1%)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응답자 90.4%는 현재 지원규모(월 20만 원, 최대 10개월)가 적절하다고 응답했고, 지원조건(월세 60만 원, 보증금 1억 원 이하)에 대해서는 91.4%가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지원 대상 소득기준(중위소득 120%, 월 2,108,633원)은 61.6%가 ‘적절하다’, 25.4%는 ‘상향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청년월세’ 신청자의 86.6%는 서울시 청년정책이나 주거정책에 참여했던 경험이 전혀 없다고 응답해 정책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대책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울시는 이번 조사는 6월 ‘서울 청년월세지원’ 신청 당시 신청자들이 자율적으로 참여‧응답하는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서울시가 서울연구원(도시사회연구실)에 의뢰해 분석했다고 밝혔다.

이대훈 기자
<저작권자 ⓒ 영등포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보내기